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되면서 신문, 잡지, 음악, 영화, 방송 산업은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했다. 사용자들이 신문지나 라디오, 워크맨이 아닌 컴퓨터를 통해서 콘텐츠를 소비하는 체험을 하기 시작하면서 미디어 산업의 참여자들을 둘러싼 경쟁구도와 이해관계는 큰 변화를 만들어냈고 새로운 패러다임의 재편을 가져다주었다. 이러한 변화를 만들어낸 것은 다름 아닌 웹 플랫폼이다. 이후 스마트폰의 등장은 모바일 플랫폼의 시대를 개막시켰고 웹이 가져다 준 변화보다 더 큰 변화의 물결을 만들고 있다. 신체의 일부가 되어 항상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은 현실계에서 바로 가상계로 순간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었고 이로 인해 현실계 속에서 즉시 이루어져야 하는 배달, 운송, 주문, 결제 및 쇼핑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즉, 이와 같은 IT 기술 혁신은 생산성을 효율화시켜 생산, 유통, 거래에 들어가는 한계 비용을 대폭 낮추어 산업 구조를 재편시킨다.
한계 비용 제로 사회는 이와 같은 시장의 변화가 사물 인터넷이라는 차세대 IT 플랫폼을 맞이하며 에너지와 물리적 재화 그리고 사람과 사람을 넘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의 커뮤니케이션 영역 전반으로 확대되면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을 맞이할 것임을 이야기하고 있다. 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우리 주변을 둘러싼 모든 사물에 탑재된 센서와 이들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사물간 지능형 네트워크는 현실의 모든 것을 가상과 연결하여 유휴 자원을 공유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이러한 기술 혁명은 스마트폰 이전의 변화보다 더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야기할 것이고 이는 3차 산업혁명으로 이어져 새로운 사업 기회와 풍요로움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저자가 말한 사물 인터넷의 정의로 들은 커뮤니케이션 인터넷, 에너지 인터넷, 물류 인터넷은 현실계의 모든 정보를 데이터로 측정하고 축적하게 만들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물리적 제품의 생산과 유통에 들어가는 한계비용을 더욱 낮출 수 있게 될 것이라는 점에 공감한다. 사실 이미 이러한 산업의 변화는 인터넷에 연결된 전기 자동차에서도 엿볼 수 있다. 동력 기계에서 바퀴 달린 전자기기로 혁신한 전기차는 값비싼 화석연료가 아닌 전기를 이용하는 것 뿐 아니라 제조 공정이 단순화, 표준화되어 컴퓨터 부품처럼 전기차 생산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늘어나 제품 생산의 한계비용이 대폭 낮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전기차에 부착된 센서와 이를 통해 확보된 데이터는 이동의 효율성을 제고함으로써 시간과 연료를 절약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가 말한 3D 프린터 역시 저렴한 재활용 플라스틱이나 폐지 등의 원료를 이용해 개인이 원하는 맞춤형 상품을 직접 제조, 생산하는 트렌드를 만들어내 대량 생산이 아닌 다품종 소량 자가 생산의 시대를 가속화할 것이다. 이같은 변화는 곧 전 세계의 모든 사용자들이 소규모 사업자가 되고 서로 협력적 공유사회 내에서 수평적 거래를 만들어냄으로써 수직 통합된 글로벌 기업의 경제 생태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촉발시킬 것이다.
즉, 사물 인터넷은 오프라인 경제계 전반에 패러다임의 대전환을 가져다 줄 거대한 물결을 만들어낼 것이다. 이 물결은 저자가 말한 한계 비용 제로 사회를 가속화할 것이고 이는 곧 에너지 절감과 효율적이며 지속 가능한 경제 생태계를 만드는데 기여할 것이다.
저자의 의견에 덧붙여 사물 인터넷 시대에 주변 도처의 센서들이 축적한 방대한 개인의 모든 데이터는 기존 스마트폰이나 PC에서 쌓인 데이터의 양, 질에 비할바가 아닐만큼 중요하다. 모든 개인이 인식도 못하는 사이에 나의 모든 일상 데이터와 맥박, 심박수 등의 생체정보가 모니터링되고 축적되어 갈 것이다. 또한, 현실계의 모든 변화 또한 디지털라이징되어 데이터로 저장되어 갈 것이다. 3차 산업의 혁명이 풍요로운 미래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이같은 데이터에 대한 보안과 악용과 오용을 방지하는 정책 마련 또한 우리가 고민해야 할 숙제이다. 저자의 말처럼 사물 인터넷이 새로운 기회와 가능성을 만들어주기 위해서는 기술이 가져올 문제에 대한 충분한 고민과 대비책 또한 함께 세워져야 할 것이다.